본문 바로가기
관련상식

희토류 매장량, 중국 1위 - 자원, 기술력, 가공력

by 이슈투데이A 2025. 4. 16.

🌍 2024 세계 희토류 매장량 순위 TOP 11

누가 미래 기술의 패권을 쥐고 있을까?

희토류는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닙니다.
스마트폰, 전기차, 반도체, 풍력 발전기까지…
거의 모든 첨단 기술 산업의 핵심 소재죠.

그렇다면,
이 중요한 자원은 누가 얼마나 가지고 있을까요?

 

희토류 매장량
희토류 매장량

 

순서

📌 희토류란?

  • '희토류'는 17개의 금속 원소를 뜻하는 말로
  • 전자기기, 친환경 에너지, 군사 장비에 필수입니다.
  • 이름과 달리 지각 전체에 꽤 분포돼 있지만,
    채굴 가능한 농도로 모여 있는 곳은 드물죠.

🏆 2024년 세계 희토류 매장량 순위 TOP 11

 

순위 국가 매장량 (백만 톤 기준) 특징 요약
1위 🇨🇳 중국 약 44 자원+기술력+가공력까지 세계 1위
2위 🇻🇳 베트남 약 22 신흥 강국, 미국과 협력 확대 중
3위 🇧🇷 브라질 약 21 개발은 느리지만 잠재력 풍부
4위 🇷🇺 러시아 약 19 자원은 많지만 지정학적 리스크 있음
5위 🇮🇳 인도 약 6.9 남부 지역 중심, 자립 전략 가동
6위 🇺🇦 우크라이나 약 5.8 유럽의 숨은 자원 보고, 전쟁 변수 큼
7위 🇦🇺 호주 약 4.2 생산 인프라 잘 갖춤
8위 🇺🇸 미국 약 2.3 생산보다 전략 비축에 집중
9위 🇬🇱 그린란드 약 1.5 북극권 보물창고, 아직 초기 단계
10위 🇨🇦 캐나다 약 1.4 기술력 우수, 친환경 채굴 추구
11위 🇿🇦 남아공 약 0.8 아프리카 대표 희토류 보유국

🔍 우크라이나, 숨은 강자의 등장?

우크라이나는 유럽 내에서 희토류 매장량이 매우 많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.
최근 EU와의 협력으로 희토류 개발 프로젝트도 시작됐죠.

하지만

  • 전쟁 상황
  • 기술력/인프라 부족
  • 정치적 불안정성
    같은 변수들이 있어 당장 생산국으로 도약하긴 어려운 상황입니다.

미국이 개발권을 노리고 있습니다.

 


✅ 정리: 자원은 곧 전략이다

희토류는 이제 단순한 금속이 아닌
기술력, 안보, 경제 전략까지 연결된 핵심 자원입니다.

각국은

  • 자원 보유국 vs 기술 보유국
  • 공급망 다변화
  • 자립화 시도
    를 통해 치열한 물밑 전쟁 중이죠.

앞으로 희토류를 둘러싼 국제 정세는 더 흥미롭게 전개될 겁니다.

 


📌 함께 읽으면 좋은 글

  • 전기차에 들어가는 희토류는 얼마나 될까?
  • 중국이 희토류 수출 막으면 세계는 어떻게 될까?
  • 한국의 희토류 자립 가능성은?